본문 바로가기

세상살이

(304)
행렬의 곱셈 1. 행렬의 곱셈 → 여러 개의 행벡터와 열벡터의 곱셈을 한 개의 식으로 나타내는 것. = …㉠, = …㉡ ㉠, ㉡을 한 개의 식으로 나타내면 → = 2. A×B 가 정의될 조건 → (A 의 행의 길이) = (B 의 열의 길이) ☞ (m×l 행렬)×(l×n 행렬) = (m×n 행렬) ☞ A×B ≠ B×A, (AB)C = A(BC) → 곱셈의 교환법칙(×), 결합법칙 (O)3. 행렬의 거듭제곱 → A×A = A2, A×A×A = A3
strtol() 정수 문자열을 진수 선택하여 정수로 변환 숫자 문자열을 long형 숫자로 변환합니다. atoi()나 atol()과는 달리 (1) 변환하려는 진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2) 숫자 문자가 아닌 문자를 만나면 그 포인터 위치를 구해 줍니다. 예로, "1000secrys" 을 호출하게 되면, char *str; char *ptr; long value; str = "1000secrys"; value = strtol( str, &ptr, 10); value에는 2007이 들어 가고 ptr에는 숫자로 변화하지 못하는 문자열의 시작 위치를 구해 줍니다. 만약 NULL을 넘겨주면 시작 위치를 구하지 않습니다. 헤더 stdlib.h 형태 long strtol(const char *restrict str, char **endptr, int base); 인수 ch..
3월 22일 공부 내용 1. 일반적으로 during 뒤에는 ~ing 가 오지 않는다. 2. go through (일이 무사히) 끝나다 as planned 계획대로 go up 오르다 go backward 퇴보하다 3. prevent는 목적어 하나만 취하거나 '목적어+from ~ing'의 형태를 취하는 동사이다. 따라서 빈 칸에는 soil과 groundwater의 수식을 받는 contamination이 가장 적합하다 4. landfill 쓰레기 매립지
그레이 코드 (Gray Code) 그레이코드 : 비가중치 코드이며 연산에는 부적합하지만 어떤 코드로부터 그 다음의 코드로 증가하는데는 하나의 비트만 바꾸면 되는 코드 그럼 이 그레이코드가 왜필요한가? 단순히 바이너리코드 체계를 보면 7 -->> 8로 변화할 때 0111 -->> 1000로 4비트가 동시에 바뀌게 된다. 그런데 동시에 바뀐다고는 하지만 약간씩의 시간차를 가지고 바뀌게 되지 때문에, 자료를 읽을 때 최악의 경우에는 잘못된 자료를 읽게 되는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그것을 줄이기 위한 그레이 코드! --------------------- 그레이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 --------------------- 기본 법칙 : 첫째자리수는 그대로, 그 다음 수는 이전 자리 수와 현재 자리 수의 합으로 변환 만약 11011이라는 2진수를 ..
세점으로 만들어지는 평면에 법선벡터 구하기(외적 구하기) p(0,0,0), Q(2,4,6), R(-1,2,7) 이 세점으로 만들어지는 평면에 법선벡터 구하기. P(0,0,0), Q(2,4,6), R(-1,2,7)에서 평면 PQR 의 법선벡터는 벡터 PQ 와 벡터 PR 에 공통으로 수직한 벡터입니다. 따라서 벡터 PQ와 벡터 PR 의 외적(크로스곱)을 구하면 됩니다. 벡터 PQ = Q - P = (2,4,6) - (0,0,0) = (2,4,6) 벡터 PR = R - P = (-1,2,7) - (0,0,0) = (-1,2,7) (벡터 PQ) × (벡터 PR) = (2,4,6) × (-1,2,7) = (4 * 7 - 6 * 2)i - {2 * 7 - 6 * (-1)}j + {2 * 2 - 4 * (-1)}k = 16i - 20j + 8k = (16, -20, 8) ..
근의공식 유도법(2차 방정식) 근의공식 유도법(2차 방정식)
warning C4996: 'fopen'이(가) deprecated로 선언되었습니다. warning C4996: 'fopen'이(가) deprecated로 선언되었습니다. 기존 C Library 계열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S사의 Secure 버전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말해 주는 것이다. 해결 방법은 fopen 함수를 fopen_s로 사용하거나 (다른 deprecated로 선언되었다는 것들도 함수이름_s로 바꾸어서 사용, 예) strcpy -> strcpy_s) 맨위에 #define _CRT_SECURE_NO_DEPRECATE 로 한줄 추가 해주면 해결할 수 있다.
전가산기(Full Heade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