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의 건실함 또는 성장성을 보기 위해선 재무제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오늘은 간단하게 재무제표를 해석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재무제표는 전자공시(Dart)나 네이버를 통해서 볼 수 있으며,
전자공시의 내용은 보기에 어렵게 생겼으니 네이버를 통해 간단하게 확인해보도록 하자
네이버에서 재무 제포를 확인하는 방법은 네이버 금융으로 접속하면 되고
접속 주소는 아래와 같다.
네이버 금융
국내 해외 증시 지수, 시장지표, 펀드, 뉴스, 증권사 리서치 등 제공
finance.naver.com
네이버 금용으로 접속 후 기업을 검색하고 종목분석 - 재무분석으로 이동하면 된다.
네이버 금융에선 포괄손익계산서/재무제표/현금흐름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고 이 3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포괄손익계산서 읽는 방법
포괄 손익을 통해 기업의 이익이 얼마나 증가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매출액이 증가하면 기업이 성장하고 있다는 이야기이지만,
여기서 원자재 가격 상승 및 판관비 등을 제외하고 손이익이 얼마나 증가하고 있는지도 중요하기 때문에
포괄손익을 보아야 한다.
※ 포괄손익이란, 매출액에서 원가, 판매관리 비용, 세금 등 을 빼고 남은 순이익
매년 또는 분기마다 회사의 포괄 손익이 어떻게 변동하는지 관심을 두고 보자
포괄손익 값은 재무분석에서 포괄손익계산서를 통해 볼 수 있으며 총 포괄이익 위주로 보면 된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 성장이 유지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총 포괄이익을 변동성을 통해 기업의 성장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총 포괄이익이 적자인 기업은 투자하기 전에 한번 더 고려해보아야 한다.
재무상태표 읽는 방법
재무상태표를 통해 기업의 성장성이나 안정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자산은 부채 +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무상태표를 통해 부채와 자본을 확인할 수 있다.
자산이 증가하는 것은 자본이 증가해서 증가할 수 있지만 부채가 증가해서도 증가할 수 있다. 부채가 증가해서 자산이 늘어난 것인지 자본이 늘어서 자산이 늘어난 것인지 대해서 분석이 필요하다.
자산 = 유동자산(재고자산 등) + 비유동자산 (유형 +무형)
부채 = 유동부채 + 비유동부채
자본 =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등
유동자산 : 일반적으로 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 자산 총계 대비 비중이 높을수록 좋음
재고자산 : 판매되지 않고 남은 제품과 관련돼 자산
- 회계조작의 대상이 될 수 있음, 급격하게 증가했을 때 세부적 분석 필요
비유동자산 : 빠르게 현금화하기 어려운 자산
- 유형자산(부동산/토지 등) + 무형자산(특허권 등)으로 구성
- 부동산 등은 추가 기업의 이익으로 반영될 수 도 있음
부채 : 기업이 갚아야 할 빚
- 자본총계 대비 부채 비율이 100% 로가 넘으면 기업 안정성 낮아질 수 있음
- 부채를 이용하여 기업이 성장할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분석 필요
이익잉여금 : 회사가 필요한 지출을 다하고 남은 금액
- 모아둔 현금을 사용하기 위해선 무상증자, 배당 등을 사용해야 함
- 이익잉여금이 많을수록 향후 배당을 통한 호재로 주가 상승 가능
현금흐름표 읽는 방법
기업 운영을 이해하려면 현금 흐름에 대한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현금 흐름을 통해 기업의 성장성이나 안정성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영업 활동 현금 흐름 :
- 영업 활동을 통한 이익이 얼마인지 항목
투자활동 현금흐름 :
- 벌어들인 돈으로 투자를 얼마나 했는지 알려주는 항목
재무활동 현금흐름 :
- 외부에서 돈을 마련해오고 빚을 갚는 것을 알려주는 항목
기업에 투자하기 전에 재무제표를 간단하게라도 읽어보고
투자할만한 기업인지 한번 더 확인해보도록 하자
그럼 모두 성투하세요